와일리 표기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일리 표기법은 티베트 문자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자음은 연속된 로마자로 표기하며, 접두사, 접미사, 위첨자, 아래첨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단, 접두사 'g'와 자음 'y'가 연속될 경우, 두 문자 사이에 마침표를 넣어 구분한다. 모음은 i, u, e, o로 표기하며, 모음 기호가 없으면 기본 모음 'a'를 사용한다.
티베트 문자는 아부기다 문자 체계로,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다.
2. 티베트 문자와 발음
2. 1. 자음
티베트 문자의 자음은 30개이며, 각각의 자음은 기본적으로 'a' 모음을 포함하고 있다. 티베트어는 성조를 가진 언어이기 때문에, 같은 자음이라도 성조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자음의 발음은 크게 무성음, 유성음, 유기음으로 나눌 수 있다.
티베트 문자 | 와일리 표기법(W) | IPA | 티베트 문자 | 와일리 표기법(W) | IPA | 티베트 문자 | 와일리 표기법(W) | IPA | 티베트 문자 | 와일리 표기법(W) | IPA |
---|---|---|---|---|---|---|---|---|---|---|---|
ཀ | ka | [ká] | ཁ | kha | [↘︎kʰá] | ག | ga | [ɡà/↗︎kʰà] | ང | nga | [ŋà] |
ཅ | ca | [tɕá] | ཆ | cha | [↘︎tɕʰá] | ཇ | ja | [dʑà/↗︎tɕʰà] | ཉ | nya | [ɲà] |
ཏ | ta | [tá] | ཐ | tha | [↘︎tʰá] | ད | da | [dà/↗︎tʰà] | ན | na | [nà] |
པ | pa | [pá] | ཕ | pha | [↘︎pʰá] | བ | ba | [bà/↗︎pʰà] | མ | ma | [mà] |
ཙ | tsa | [tsá] | ཚ | tsha | [↘︎tsʰá] | ཛ | dza | [dzà/↗︎tsʰà] | ཝ | wa | [wà] |
ཞ | zha | [ʑà/↗︎ɕà] | ཟ | za | [zà/↗︎sà] | འ | 'a | [ɦà/↗︎ʔà] | ཡ | ya | [jà] |
ར | ra | [rà] | ལ | la | [là] | ཤ | sha | [↘︎ɕá] | ས | sa | [↘︎sá] |
ཧ | ha | [há] | ཨ | a | [↘︎ʔá] |
원래 티베트 문자에서는 음절 내의 자음 연속이 접두자나 접미자로 표기되거나 기본문자에 위첨자나 아래첨자로 붙어 표기될 수 있는데, 와일리 체계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고 단순히 연속된 로마자로 옮긴다. 이는 티베트 철자법 상 모호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인데, 유일한 예외는 ''gy-''로서, 이는 접두사 g일 수도 있고 아래첨자 y일 수도 있다. 와일리 체계에서는 접두사 g와 자음 y 사이에 마침표(.)를 넣어 구분한다. 예를 들어 གྱང("벽")은 ''gyang''이고 གཡང("틈")은 ''g.yang''이다.
2. 2. 모음
4개의 모음 기호는 다음과 같이 옮겨진다.티베트 문자 | 와일리 표기법 |
---|---|
ཨི | i |
ཨུ | u |
ཨེ | e |
ཨོ | o |
와일리 표기법은 티베트 문자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 중 하나로, 1959년 미국의 티베트학자 터렐 와일리(Turrell Wylie)가 고안하였다. 이 표기법은 티베트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모음 기호가 없으면 기본 모음 a를 붙인다.
3. 와일리 표기법
3. 1. 자음 표기
와일리 표기법은 티베트 문자의 자음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음절 내의 자음 연속을 접두자, 접미자, 위첨자, 아래첨자로 구분하지 않고 단순히 연속된 로마자로 옮긴다. 예외적으로, 접두사 g와 자음 y가 연속될 경우, 그 사이에 마침표(.)를 넣어 구분한다. (예: གྱང은 gyang, གཡང은 g.yang)
티베트 문자 | 와일리 표기법(Wylie) | IPA | 티베트 문자 | 와일리 표기법(Wylie) | IPA | 티베트 문자 | 와일리 표기법(Wylie) | IPA | 티베트 문자 | 와일리 표기법(Wylie) | IPA |
---|---|---|---|---|---|---|---|---|---|---|---|
ཀ | ka | [ká] | ཁ | kha | [↘︎kʰá] | ག | ga | [ɡà/↗︎kʰà] | ང | nga | [ŋà] |
ཅ | ca | [tɕá] | ཆ | cha | [↘︎tɕʰá] | ཇ | ja | [dʑà/↗︎tɕʰà] | ཉ | nya | [ɲà] |
ཏ | ta | [tá] | ཐ | tha | [↘︎tʰá] | ད | da | [dà/↗︎tʰà] | ན | na | [nà] |
པ | pa | [pá] | ཕ | pha | [↘︎pʰá] | བ | ba | [bà/↗︎pʰà] | མ | ma | [mà] |
ཙ | tsa | [tsá] | ཚ | tsha | [↘︎tsʰá] | ཛ | dza | [dzà/↗︎tsʰà] | ཝ | wa | [wà] |
ཞ | zha | [ʑà/↗︎ɕà] | ཟ | za | [zà/↗︎sà] | འ | 'a | [ɦà/↗︎ʔà] | ཡ | ya | [jà] |
ར | ra | [rà] | ལ | la | [là] | ཤ | sha | [↘︎ɕá] | ས | sa | [↘︎sá] |
ཧ | ha | [há] | ཨ | a | [↘︎ʔá] |
3. 2. 모음 표기
4개의 모음 기호는 각각 i, u, e, o로 옮겨진다.ཨི | ཨུ | ཨེ | ཨོ |
---|---|---|---|
i | u | e | o |
모음 기호가 없으면 기본 모음 a를 붙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